▶3D 프린팅/삼디강좌 (209) 썸네일형 리스트형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초보의 Top5 불량 - 와블 편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 와블을 해결하는 방법들] 이제 초보의 Top 5 불량 마지막 편입니다. 와블을 가지고 나왔는데요. 성공적인 출력 뒤에 미세하게 결이 울퉁불퉁할 때 느끼는 찜찜함. 원래 FDM 프린터의 한계겠지 하며 넘기지만 원인을 알면 지금보다는 나아질 수 있다고 봅니다. 와블은 흔히 리드스크류 회전편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것과 더불어 제가 경험했던 내용을 추가하여 영상을 남겨봅니다. 아마 제가 남긴 내용보다 더 다양한 원인들도 있을것 같은데 그건 고수님들의 댓글로 기대해보겠습니다. 모두가 와블 불량으로 부터 자유롭게 되길 응원합니다.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초보의 Top5 불량 - 고스팅 편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 고스팅을 잡는 3가지 조건] 초보의 Top5 불량 네번째 시간으로 고스팅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출력을 많이 하고 다른 사람들의 자로잰듯한 환상적인 출력물을 많이 보다보면 내 프린터 출력물이 오징어 같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런 현상중 하나가 고스팅인데, 오늘은 고스팅의 원인 및 해결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봅니다. 출력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하셨던 입문자 분들에게 도움되는 정보이길 바랍니다. 우리의 목표는 오른쪽 같던 출력물을 왼쪽 처럼 만드는 것입니다. 다양한 조건에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몇번이 가장 잘 나온 것처럼 보이시나요? 일단 고스팅이라고 불리는 것에는 크게 2가지 서로 다른 종류가 있습니다. 첫번째 유형의 고스팅은 슬라이싱 조건으로 쉽게 해결이 됩니다. 두번째 유형은 좀..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초보의 Top5 불량 - 탈조 편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 탈조를 일으키는 10가지 원인] 잘 나오진 않지만 한번 나왔다 하면 정말 성가신 불량중 하나가 탈조인것 같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탈조를 일으키는 10가지 원인을 기반으로 어떻게 해결하는지 방법을 담아보았습니다. 탈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초보의 Top5 불량 - 압출불량 편 [북리지의 삼디불량사전 - 압출불량] 출력 입문시 첫 난관이 안착불량이라면 그 다음에 찾아오는 스트레스 요소가 바로 압출불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보통 압출불량에 대해 노즐이 막혔다고 표현을 하는데요. 실제로 노즐이 막힌 경우는 10%도 채 안되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그보다 훨씬 더 다양한 원인이 있기에 내가 처한 상황에 맞는 조치를 해줘야 한다고 봅니다. 약 1년전쯤 '압출불량 해결을 위한 16가지 가이드' 라는 글을 통해 압출불량에 대해 한번 정리했었습니다. 그 글은 압출불량의 원인들을 순차적으로 체크해보는 하드웨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것인데, 이번에 압출불량의 현상/증상을 통해 원인을 분류해보는 방식으로 영상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제가 정리하는 방식이 하도 TMT(too much talk).. [북리지의 삼디강좌] Fusion360 슬라이서 사용법 및 간략리뷰 [북리지의 삼디강좌 - Fusion360 슬라이서 사용법 및 간략리뷰] 지난 주 Autodesk 사의 3D모델링 프로그램 중 하나인 Fusion360에 슬라이싱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향후 3D 프린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 생각이 들었었는데요. Fusion360 에서 슬라이싱 하는 방법과, 그 출력 결과는 어떨지 영상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영상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던 짧은 소견을 남기자면, 인터페이스가 처음에 낯설어서 조금 헤매긴 했지만 자주 사용하게 된다면 기존 슬라이서와 큰 차이 없이 슬라이싱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에서 출력 결과는 상당히 괜찮게 나온것으로 보았는데, 서포트가 있거나 복잡한 형태의 좀더 다양한 출력을 해봐야 보다 자세히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아직까지 손에.. [북리지의 삼디강좌] 직접 써본 베드 10종 리뷰 [북리지의 삼디강좌 - 직접 써본 베드 10종 리뷰] 지난번 안착불량 클리닉 영상때 분량이 많아 별도로 올리겠다고 약속드린 베드 10종에 대한 리뷰를 준비해보았습니다. 저의 출력환경은 아이들을 키우는 집안에서 주로 진행하기에 필라멘트는 PLA를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베드 리뷰도 PLA 필라멘트 기준으로 제가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극히 주관적인 정보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이번 영상이 나오기 까지 도움주신 하트님, 젤로님, 스틱마왕님, 별밭님을 비롯 수많은 프린팅 선배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 [북리지의 삼디강좌] 스탭값 설정과 정확한 출력사이즈를 위해 고려해 줄 것들 [북리지의 삼디강좌 - 스탭값 설정과 정확한 출력사이즈를 위해 고려할 것들] 죄송합니다. 지난 영상에서 캘리브레이션 큐브를 출력하지 말라를 이야기하면서 캘리브레이션 자체를 '절대' 하지 말라 라고 했는데, 너무 과장된 표현이었습니다. 소수점 캘리브레이션이 연산과정에 있는 반올림을 통해 스텝 연속성상에 문제가 있다고 보았는데, 논리적으로 잘못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였습니다. 그래서 이번 영상에서는 스텝값을 도출하는 방법과 스텝 캘리브레이션을 하지 않고 정확한 사이즈의 결과를 얻기 위해 고려해야 할 부분의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결론은 스텝 캘리브레이션 하기 이전에 하드웨어적인 좋은 품질의 파츠를 사용해야 한다는 어찌보면 당연한 내용입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영상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김성민의 북리.. [북리지의 삼디강좌] 캘리브레이션 큐브 절대 출력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북리지의 삼디강좌 - 캘리브레이션 큐브 절대 출력 말아야 하는 이유] 삼디 입문시기에 xyz 큐브를 수없이 출력을 했습니다. 대부분 출력물의 품질을 보고자 했지만, 캘리브레이션 큐브의 본연의 목적인 스텝 캘리브레이션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나 그 스텝 캘리브레이션은 매우 잘못된 방법이라는 것을 백여개가 넘는 큐브를 출력하고 나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입문자들이 다양한 이유로 xyz 큐브를 출력하는데, 적어도 스텝 캘리브레이션 목적으로는 절대로 출력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공유하고 싶어서 영상을 남겨봅니다. 캘리브레이션 xyz 큐브 절대로 출력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그 첫번째 영상 남겨봅니다. 즐거운 프린팅 생활 되세요.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