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의경영/창의력의 재발견

[김성민의 창의칼럼] 고정관념은 깰 수 없다 ③

[김성민의 창의칼럼 - 고정관념은 깰 수 없다 ③]


지난 두번의 포스팅을 통해서  '고정관념을 깨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라는 다소 암울해 보이는 말로 글을 마쳤다. 그동안 고정관념을 깨라고 수없이 외쳐오셨던 분들에게는 죄송한 말이지만 그게 현실임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 글에 대해 페친중에 한분이 "고정관념을 깨야한다는 생각자체가 고정관념이 아닌가" 하는 댓글을 올려주었다. 정확히 내가 하고 싶었던 말이었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기 앞서서 고정관념이 도대체 뭔지를 한번 알아보겠다.

우리의 멘토이신 네이버 선생님은 고정관념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계신다.


1. 잘 변하지 아니하는, 행동을 주로 결정하는 확고한 의식이나 관념

2. 어떤 집단의 사람들에 대한 단순하고 지나치게 일반화된 생각들


언뜻 보면 고정관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정의를 내린 것 같으나 그렇게 생각하는 것 조차 고정관념일 수 있다.

인간의 뇌는 그 질량이 몸무게의 2%도 채 안되지만 평상시 몸 전체에서 차지하는 에너지 소비가 20%나 된다고 한다. 만일 고난이도 문제가 닥치면 뇌는 20%를 훨씬 넘는 에너지를 쓰게 되고 CPU가 과열되어 오작동하거나 작동을 멈추듯이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런데, 뇌는 아주 현명한 방식으로 사물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만들어졌다.


한번 이런 상황을 상상해보자. 





만일 당신이 아프리카를 여행하다 멀리 위의 사진과 같은 형태가 다가오는 것을 보게 되었다. 이제부터 당신은 다가오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해석하려고 한다. 첫째, 네발을 가지고 다가오고 있다. 그리고 눈빛이 강렬하고 이빨이 날카롭게 나 있다. 색은 황갈색이고 머리에는 갈퀴가 나있다. 이런 분석은 계속된다. 한참을 생각한 끝에 그것이 '사자' 임을 알게 되었다. 그때는 이미 당신의 머리가 사자의 입속에 들어가 있을 것이다. 


사람은 이렇게 하나하나 모든 것을 분석하여 생각지 않는다. 멀리 다가오는 어떤 존재의 형체만 슬쩍 보더라도 단번에 '사자' 라고 인식하고 도망가는게 정상이다. 어떻게 꼼꼼히 따져보지도 않았는데 '사자'인줄 알았는가? 사람이라면 다들 그정도 능력은 가지고 있다. 사람은 모든 것을 새롭게 따지지 않고 기존에 가지고 있는 범주속에서 대략 이것은 무엇무엇이다라고 '넘겨집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것을 '패턴화 사고' 라고 한다. 패턴화 사고를 함으로 뇌는 효율성있게 가동되고 매번 새롭게 분석하느라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만약 한번 형성된 패턴이 자꾸만 머리에서 바뀌어 버린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우리는 매번 새롭게 처음부터 해석을 하고자 머리를 써야 할 것이다. 바로 네이버 선생님이 알려준 '잘 변하지 않는다', '확고한 의식' 등은 패턴화 사고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즉 '고정관념'은 우리 인간의 두뇌 효율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말이다. 


방금 나는 패턴화 사고와 고정관념을 동일시해서 이야기를 했다. 다음시간에는 왜 그것이 같은 개념인지를 하나씩 알아보자.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