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민의 독서경영 -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
강한 인공지능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겠죠. (중략)
‘인간은 지구에 왜 있어야 되나?’
p.322
우리는 알게 모르게 수많은 인공지능에 둘러싸여 살고 있습니다. 어제밤 열대야에 틀어놓은 선풍기에도 있습니다. 시간을 맞춰놓으면 정확히 지정한 시간동안 돌다가 꺼지죠.
이게 무슨 인공지능이냐 말하는 분도 있겠지만, 인공지능의 역사에서 초창기에 구현해냈던 방식입니다. 미리 짜여진 알고리즘에 의해 작동하는 방식이었죠. 이게 조금 발전하면 '엑스퍼트 시스템'이라고 해서 매우 복잡한 로직을 미리 입력해 놓아서 마치 전문가 한사람이 안에 들어가서 해내는건 아니야? 하며 생각하게끔 만드는 정도까지 왔습니다. 사람이 썼는지 로봇이 썼는지 구분이 안되는 수준에 와 있는 기사로봇이 엑스퍼트 시스템입니다. 그러나 이런 인공지능은 그때마다 사람이 일일히 로직을 입력해줘야 했습니다. 상황이 변하면 변한 게임의 규칙에 맞춰 모든 걸 다 다시 입력해줘야 했지요. 일본 문학상 예심을 통과했다고 하는 소설을 쓰는 로봇이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소설속의 상황이나 인물설정등을 미리 모두 입력시켜줘야 하죠. 예를들어 비가 오는 날의 주인공의 심정이 어떤 범주에서 일어날지에 대한 로직도 아주 세세한 부분을 다 짜줘야 합니다. 물론 일단 짜놓고 나면 그 뒤로 로봇이 소설을 쓰는 것은 아주 빠른 시간내에 되긴 됩니다. 하지만 결국 노가다는 모두 사람이 해야만 했던 것이죠. 이 로봇의 개발자인 사토 교수는 작년 이맘때쯤 앞으로 소설쓰는 로봇을 개발하지 않겠다며 인터뷰했던 것을 기사로 보았습니다. 당연하죠. 엑스퍼트 시스템은 우리의 상상속에 생각하던 인공지능의 모습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책 리뷰를 하지 왠 뜬금없는 이야기냐고요. 이유는 오늘 다룰 책이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과거의 인공지능이 아닌 현재 발전하는 인공지능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다르냐? 어떻게 다르냐? 라는 것을 김대식 교수는 책의 거의 절반을 할애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접근방식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기술이 아닌 인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거죠. 특이하지 않나요? 게다가 수학이나 기술을 다루었다면 지루했을 텐데, 과거 역사와 철학의 이야기들어서 인문학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가볍게 읽어내려갈 수 있을 겁니다.
인공지능도 어차피 '지능' 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인간이 어떻게 사고하는지에 대해 알게 된다면 그것을 모방한 '인공지능'도 가능하게 되겠죠. 그런데 사람들은 하루에도 오만가지 생각을 다하며 살지만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지진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인공지능이 더욱 발전할 여지가 있는 것이죠. 그런데, 과거보다는 많이 밝혀진 부분이 있습니다. 김대식 교수는 '과거' 서양철학의 원류를 찾아가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인간의 '생각' 이라고 하는 것을 다시 말하면 '철학한다' 라고 할 수 있으니깐요. 철학에서 가장 유명한 문제와 논쟁거리가 바로 '보편'에 대한 것이죠. 그 보편은 올바름, 미, 정의, 선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질 수 있을 거라 봅니다. 저자는 보편을 기반으로한 생각의 변천을 파르메니데스에서 시작하여 헤라클레이토스, 아리스토텔레스를 거쳐 라이프니츠와 버트런트 러셀, 그리고 폰노이만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해줍니다.
문제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어떻게 사고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기계에서 데이타를 이야기할 때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방식의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라고 하고, 아름답다, 맛있다 등의 기계 입장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비정형 데이터'라고 말한답니다. 예전에 입장은 인간의 생각은 모두 언어로 바꿀 수 있고, 만약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는 방식의 언어로 바꾸기만 하면 '인공지능'이 가능하다. 라는 입장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말 오랫동안 사람들이 연구를 했지요. 그런데, 그 유명한 모라벡의 역설로 부터 시작해 새롭게 밝혀지는 뇌과학적인 발표들이 방향을 틀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인간이 ‘쉽다’와 ‘어렵다’를 잘못 생각한 것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중략) 결국 우리는 답을 알고 있기 때문에 쉬웠던 거죠. 단, 진화과정에서 고등수학 문제들은 풀 필요가 없었습니다. 뇌가 정답을 모르니 우리는 그냥 문제 자체가 어렵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p.78
위의 그림은 지금으로 부터 50여년전 1965년 이정문 화백의 미래 사회의 모습을 상상으로 그린 만화입니다. 어떻나요? 정말 많이 이루어진걸 볼 수 있죠? 아마도 이정문 화백만 이런 생각을 한 것은 아닐 것입니다. 누군가의 상상은 현실을 만들어가는 씨앗이 되죠. 혼자 상상하면 그냥 꿈으로 끝나지만, 함께 상상하면 그것은 현실이 된다고도 합니다. 멋진 미래 함께 만들어갔으면 합니다.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
'▶독서경영 > 독서경영_자기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성민의 독서경영] 메트릭스 세계를 꿈꾸다 - 호모데우스 / 유발 하라리 (1) | 2017.08.22 |
---|---|
[김성민의 독서경영] 향연(Symposion) - 플라톤 (1) | 2017.08.16 |
[김성민의 독서경영] 아트 비하인드 - 변종필 (0) | 2017.07.19 |
[김성민의 독서경영] 기획은 2형식이다 - 남충식 (2) | 2017.06.20 |
[김성민의 독서경영] 영장류 게임 - 다리오 마에스트리피에리 (0) | 2017.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