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민의 독서경영 - 아트 비하인드]
“내가 숙련된 솜씨를 위해
얼마나 많은 열정을 쏟아부었는지 안다면,
결코 그렇게 감탄할 만한 일은 아니다”
<미켈란젤로> p.251
변기를 가져다 놓고 예술이라고 한다거나, 커다란 캔버스에 빨간색 줄 하나 그어놓고 작품이라고 하는 걸 보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누군가는 그런 작품에 수십억 혹은 수백억을 들여 구입을 하는 것을 보아 확실히 뭔가 있긴 있는 것 같다.
다음은 故 스티브 잡스가 좋아하고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고 하는 마크 로스코의 작품 중 하나이다. 이렇게 작은 컴퓨터 화면에 올려놓은 그림을 보면 별다른 감흥은 없다. 그런데 이 작품을 실제로 본 사람은 다르다고 한다. 작품의 크기가 엄청나게 크기 때문이다. 45cm 앞에서 보기를 권장하는 관람자 지침까지 더해지면 눈앞을 압도하는 작품의 그 무언가가 보는 사람의 마음과 영혼에 진동을 전해주지 않을까 상상해볼 따름이다.
예술은 참으로 쉽지 않은 것 같다. 그런데, 이 책은 어려운 예술적 평론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삶과 그들의 감춰진 뒷 이야기를 재미있게 쓰고 있어서 반갑다.
그리고, 비교와 대조의 방식으로 서양과 동양의 미술, 진품과 위작, 술과 술, 프로와 아마추어등의 이야기를 이어가고 있어서 흥미롭기까지 하다.
내가 이 책에서 인상깊게 보았던 3가지는 다음과 같다.
1.
"결국, 두 아마추어 출신 화가가 주는 참 의미는 ‘진정한 화가는 아마추어 화가와 직업 화가의 단순 구분이 아닌 화가로서 얼마나 절실하게 창조적인 삶을 사느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에 있다. " p.31
물감을 붓에 찍어 바닥에 뿌려대며 그림을 그리는 사람 정도로 알고 있던 잭슨폴록, 그가 소묘재능의 부족함에 좌절하지 않고 액션페인팅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한편의 드라마와도 같다.
어떤 일을 하던지 재능은 중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앤절라 더크워스가 쓴 '그릿' 이라는 책에도 나오듯 성공한 사람들은 타고난 재능이 아닌 그 일에 대한 사랑과 열정이 있었음을 상기하게 된다. 현대과학으로도 그 사람의 탁월함의 근원이 타고난 재능인지, 아니면 후천적 노력인지를 밝혀내고 있지 못하다. 혹자는 그런 접근은 무의미하다고까지 말한다. 재능도 있고, 노력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재능이 있다고 모두가 탁월해지는 것도 아니며 그 반대도 역시 그렇다. 그런데 잭슨폴록의 경우에는 자신의 약한 재능을 게임의 방식을 바꾸어버림으로써 더 이상 신경쓰이지 않을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놀라운 반전이다.
3.
“이 그림을 해치우는 데 얼마나 걸렸죠?”
휘슬러는 망설임 없이 대답했다. “하루나 이틀 정도면 충분합니다.”
(중략)
“작품의 예술성은 단지 그림을 제작하는 데 걸린 시간으로 판가름 나는 것이 아니라,
일생을 거쳐 갈고닦은 지식의 폭과 깊이까지 포함되어 있다”고 반박했다.
p.278
위 이야기는 예술비평가 러스킨과 화가 휘슬러 법정 논쟁에서 나오는 대화이다. 러스킨은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나 미술관련한 다른 책에서 몇차례 접하였던 사람인데, 그 사람이 말하는 미술에 대한 관점에 크게 공감하고 있었던 터라 휘슬러와의 법정 투쟁의 전모가 궁금해졌다. 러스킨은 미술이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그 말은 반대로 사물의 모습을 보이는데로 잘 구현해내는 것을 좋은 미술이라고 본다는 말이 되겠다. 그러한 러스킨에게 있어 휘슬러의 그림은 그리다 만 그림. 관람자를 농락하는 그림 으로 여겨 분노의 비평을 쏟아낸 것도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휘슬러가 그림을 바라보는 관점은 그와는 달랐다. 억울한 비평을 받은 휘슬러는 러스킨을 고소하고 법정에서 투쟁을 벌여 결국 승소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승소는 했지만 법원 비용을 대는 과정에서 파산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얼마전 조용남 화투 그림의 대작이 이슈화 되었던 적이 있는데, 휘슬러와 러스킨간의 공방을 바라다보면 미술을 어떻게 보고 이해하고 있느냐에 대한 생각의 차이가 미술 자체뿐만 아니라 미술행위에 대한 판단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림을 이틀에 걸쳐 그렸다고 이틀짜리 그림이 아니라, 그 그림에는 평생에 걸친 고민과 지식이 집약되어 있음을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강의도 그렇지 아니한가. 한시간 강의라고 해서 한시간짜리가 아니라 평생에 걸쳐 생각해온 것의 집약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강의를 할 수 있어야겠다는 생각도 이어 하게 되었다.
흥미롭고 가볍게 읽을만한 예술관련 책으로 추천할만하고 본다. 아직 예술하면 익숙하지 않은 어떤 것이지만, 이 독서를 계기로 조금은 가까와진게 아닐까 생각이 든다.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
'▶독서경영 > 독서경영_자기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성민의 독서경영] 향연(Symposion) - 플라톤 (1) | 2017.08.16 |
---|---|
[김성민의 독서경영]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 - 김대식 (0) | 2017.07.27 |
[김성민의 독서경영] 기획은 2형식이다 - 남충식 (2) | 2017.06.20 |
[김성민의 독서경영] 영장류 게임 - 다리오 마에스트리피에리 (0) | 2017.06.15 |
[김성민의 독서경영] 논어, 학자들의 수다 : 사람을 읽다 - 김시천 (0) | 201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