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경영/독서경영_자기경영

[김성민의 독서경영] 향연(Symposion) - 플라톤

[김성민의 독서경영 - 향연(Symposion)]


'그렇다면 사랑은 

좋은 것이 자신에게 

늘 있음에 대한 것이네요’ p.134



  그녀만 보면 왠지 모를 설레임과 가슴 두근두근함이 느껴졌던 어릴적 풋사랑, 함께 같은공간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남모르게 좋아해버린 짝사랑, 지지고볶고 티격태격해도 그저 바라봐주며 함께 하게 되는 뚝배기 같은 사랑, 아무리 힘들어도 해맑게 웃는 모습한번에 녹아내리는 아이를 향한 사랑. 

 인간이 가지고 있는 수많은 감정가운데 사랑만큼 풍성한것이 있으랴. 그래서 유행가 가사에는 그토록 사랑이야기가 많은가보다. 


 인문학 열풍이 불었을 때 수많은 강연에서 주워들은 이야기가 플라톤의 '향연'에 대한 것이었다. 그 중 '사랑의 반쪽' 이라는 내용이 가장 많이 소개되곤 하였다. 이야기를 요약해보자면 이런거다. 인간은 본디 둘이 하나로 붙어 있는 형태였다고 한다. 남-남, 남-여, 여-여 이렇게 하나의 몸에 둘이 같이 있는 것이다. 다리는 넷, 팔도 넷, 구형에 가까운 모습으로 다닐때 굴러다니는 형태인데, 가장 완벽한 모습에 힘도 강력하여 신에게 도전하기도 하고 거만한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신은 죽이자니 자신에게 재물을 드릴 존재가 없어지는걸 원치 않았고 그냥 살려두자니 기어오르는 꼴을 못보겠고,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이 힘을 약하게 만들고자 반으로 잘랐다는 것이다. 반이 잘려진 면이 배쪽이었는데 자신의 잘못을 계속 기억하고 신에게 기어오르지 말라는 뜻에서 등을 향해있던 목을 배쪽으로 돌리고, 잘려진 부분을 주섬주섬 모아서 중심에 하나로 묶어놓게 되었는데 그게 배꼽이라는 설명도 나온다. 여기서 핵심은 나뉘어진 둘이 서로를 찾아 헤매게 되는데 그것이 자신의 잃어버린 반쪽이라는 설명이었다. 


  처음 그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사랑이야기에 그처럼 신비스럽고 애뜻한 신화적 이야기가 있었다니 하면서 좋아했다. 생각해보니 향연에서 강연자들이 청중들에게 할만한 매혹적으로 느끼게 하는 이야기거리로는 아주 좋은 소재였던 것 같다. 


  그러나, 그 이야기는 플라톤의 향연에서 비판받는 내용임과 동시에 향연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더더욱 아니었다. 


  책의 표지에는 '향연' 이라고 써 있고 아래에 Symposion 이라는 영어가 함께 나와 있다. 심포지온 이라고 읽힐만한 이 글자로부터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심포지움'이 나왔다고 한다. 그래서 뭔가 엄청나게 학술적이며 진지한 것을 내포하고 있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그냥 술자리 모임이었다니 재미있는 사실이다. 파티가 있고 식사이후에 술자리를 가지면서 노래도 듣고 춤도 추고 하는 시간을 symposion 이라고 했다고 한다. 플라톤의 향연도 그런 자리다. 그런데 그 전날 등장인물중 한명인 아가톤의 비극작품 우승의 축하파티에 과음을 한 참석자들이 우리 술은 좀 자제하고 이야기좀 해보자 라고 해서 나온게 사랑에 관한 책 '향연' 이 되었다. 

  요즘식으로 하자면 술자리에서 이런저런 알면 쓸데없지만 신기하고 잡다한 이야기를 늘어놓는 그런자리가 향연이었다고 보인다.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아가톤이라는 비극작가의 축하자리를 전날 몰래 빠져나갔던 소크라테스를 비롯해 여섯 일곱명 정도가 모여서 왁자지껄 떠들기 시작한다. 그 중에는 작가도 있고, 의사도 있고, 소피스트도 있고 저마다 자기 주장이 뚜렷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었다. 모여서는 그냥 술만 마시기도 숙취가 다 가시지 않은 상태라 이야기를 안주삼아 하자며 모임자중 한명이 제안을 하고 모두가 그날의 주제가 된 '에로스'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보통 '향연'이 사랑에 대한 책이라고 이야기 되는 것이 '에로스'에 대해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에로스'라고 하는 신에 대해 찬미하자는 취지로 이야기가 시작되었는데, 소크라테스 차례가 되어서 단지 신에 대한 찬미가 아니라 '에로스'(사랑)의 본질이 어떠한지를 규명하게 되면서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되게 되었다. 그런 여러 이야기를 하던 중 아리스토파네스 가 중간에 이야기했던 것이 '사랑의 반쪽' 신화에 대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다가  '그런식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더라' 라며 슬쩍 비판하는 모습을 띈다. 소크라테스 이야기가 마쳤을 때 아리스토파네스가 뭔가 흥분하여 할말이 있었는데 못하는 상황이 펼쳐진다. 이를 미뤄짐작해보면 플라톤은 위에 나온 '사랑의 반쪽' 신화를 비판하는 입장이었다고 보인다. 어쨋든 사랑의 반쪽 이야기는 향연이 핵심 내용도 아니고, 강연에서 청중들에게 그렇게 멋지게 소개되고 이야기 될만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 향연은 사랑에 대해서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는가? 그것은 향연의 가장 마지막 연사로 나온 소크라테스의 이야기로 부터 살펴볼 수 있겠다. 각 참석자들은 앉은 자리 순서대로 한명씩 이야기를 하는데 아마도 그 당시 보편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던 에로스에 대한 관점들을 하나하나 나열해 가고 있는게 아니었을까 싶다. 그리고 앞서 말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반박하거나 부족한것을 보완해가면서 다음사람이 바톤을 넘겨받는데 마지막 연사가 소크라테스다보니 만약 시간이 없다고 한다면 소크라테스의 이야기만 보더라도 향연의 핵심은 알게 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소크라테스 이야기는 내가 읽은 책으로 30페이지도 채 되지 않기 때문에 그럴싸하게 포장해서 말하는 강연가를 통해 듣기보다 직접 한번 읽어보길 추천한다. 


  소크라테스는 그전에 나왔던 연사들이 이야기한 에로스는 아름답고 좋음 그 자체이다 라는 주장을 아주 교묘한 질문을 가지고 뒤집어 버린다. 이런걸 산파술이라고 했던가 싶은 경험이었다. 질문에 하나씩 답변을 하다보니 에로스는 더이상 아름다운 존재가 아니게 되어 버렸다. 

 요는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겠다. 그 오묘한 내용을 순서로 정리해보았다.

 

1) 에로스는 어떤것에 관한 에로스라고 할 수 있느냐, 어떤 것이 아닌 에로스라고 할 만한 자인가 하는 아주 묘한 질문을 한다. 아버지가 자녀의 아버지이고, 형제에 대해 형제이듯이 에로스도 어떤 것에 대한 에로스라는 답변을 얻는다. 

2) 어떤 것에 관한 에로스라고 할 때 그 어떤 것을 욕망하는가, 욕망하지 않는가 라는 질문에 '욕망한다' 라는 답변을 얻는다.

3) 욕망하는 자는 그것을 가진 상태에서 욕망하는가, 그것이 없는 상태에서 욕망하는가 라는 말에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욕망한다는 답을 얻는다.

4) 그리고, 결핍이 없다면 욕망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쐬기를 박는 답변을 얻는다. 마치 키가 이미 큰데 키큼을 욕망하지 않고, 힘이 쎈데 힘쎄기를 욕망하지 않는것과 같다는 것이다. 

5) 결론으로 에로스는 아름다움과 좋음의 에로스라고 이야기했는데, 아름다움과 좋음을 욕망하는 에로스가 아름다움, 좋음이 없는 존재임이 도출된다. 앞선 질문들에 답변을 계속해왔던 아가톤은 멘붕에 빠진다. 


이렇게 에로스가 아름다움과 좋음을 결여한 상태의 존재라는 사실에 아가톤으로부터 확답을 받고 아가톤은 이야기의 사슬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어찌보면 소크라테스의 말빨로 무참히 깨지는 아가톤이 애처롭기까지 하다. 


"제가 앞서 말했던 것들 가운데 아무것도 전 알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아가톤> p.122


이것은 본격적인 이야기를 위한 서곡에 불과했다. 이어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디오티마라고 하는 지혜로운 여인에게 찾아가 나누었던 대화를 통해 사랑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게 된다. 아마도 이것은 소크라테스가 앞서 이야기한 사람들의 말에 반박하는 논리를 자신의 입이 아니라 지혜롭다고 칭해지는 타인의 입을 빌려 하고자했던것으로 보인다. 물론 플라톤의 저작이니깐 플라톤이 그렇게 설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도 디오티마의 지혜를 얻고자 가서 이야기를 들었다며 사랑에 관한 본질의 대화가 시작한다.  여기서 모든 것을 다 적고 싶은 욕심도 있으나 간단하게 책을 소개한다는 의미에서 요약을 해보면, 먼저는 에로스의 근원을 통해 사랑의 본질을 설명한다. 에로스는 아프로디테의 생일파티에 찾아온 방책의 신 포로스와 궁핍의 신 페니아가 술취해서 낳은 아이라고 한다. 그래서 궁핍하지도, 방책이 뛰어나지도 않은 그 중간의 상태가 된다. 즉 지혜와 무지의 사이인 것이다. 완벽히 지혜로운 자는 지혜를 욕망하지 않고, 무지한 자는 자신이 더 나은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음을 통해 소크라테스와 아가톤의 대화를 다시한번 상기시킨다. 


자기가 뭔가를 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자가 있다면, 그는 자기가 결여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그것을 욕망하지 않습니다. p.129


무엇인가 변화를 욕망하는 자는 그것의 결핍을 인지하는 자라는 말이다. 기업에서 문제해결과정을 할 때 강조하는 것 중에 문제해결 이전에 문제인식이다 라는 말을 한다. 창의성도 풍족하다고 여기는 사람에게는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속성이 있다. 무언가 불편을 느끼고 거대한 이상에 비해 현실이 바뀌었으면 하는 결핍을 느끼는 사람에 의해 새로운 것들이 만들어진다. 과거의 방법들을 그대로 답습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결핍이 없는 자이고, 창의성을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겠다. 


 이런 대화속에 소크라테스는 의문을 가지며 질문한다. 다 알겠는데, 그런 애로스가 인간에게 왜 중요하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이야기도 무척 재미있다. 그 대략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난다. 


‘아름다운 것들을 사랑하는 자는 무엇을 사랑하는 겁니까?’ 

‘자기 것이 되기를 사랑하는 거죠.’  p.130

‘좋은 것들이 자기 것이 될 때 그에게 무엇이 있게 됩니까?’

‘그는 행복하게 될 겁니다.’  p.131

'그렇다면 사랑은 좋은 것이 자신에게 늘 있음에 대한 것이네요’ 그녀가 말했네  p.134


 사랑하는 연인끼리 나누는 대화에서 여친이 남친에게 '오빠! 나 왜 사랑해?' 라고 질문을 했는데 '네가 이뻐서' 라고 대답했을때 이어질만한 질문같았다. 

이쁨을 사랑한다고 했는데, 그 사람은 결국 무엇을 사랑하느냐는 것이다. 그에 대해 소크라테스가 내린 '자기것이 되기를 사랑한다' 라는 말은 내면 깊숙히 숨겨진 사랑의 속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답변이라고 느껴졌다. 

내것이 되지 않는 그것을 우리는 과연 사랑한적이 있었던가? 아이를 사랑할 때도, 아내를 사랑할 때도, 아이돌 스타에 팬이되어 열광을 하며 사랑한다고 말하는 소녀팬들의 모습에서도 우리는 '자기것이 되기를 사랑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어쨋든, 이것을 좀더 구체화 하여 '자기것이 늘 자기에게 있음에 대한 것이 사랑' 이라고 정리한다. 그러나 사람은 '늘, 항상' 과는 거리가 먼 가사자이다. 죽는 존재라는 말이다. 우리가 지닌 지식도 망각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머리속에서 쉴새없이 사라져 죽음을 맞이한다. 우리가 죽은 후 사람들의 기억속에 우리가 지구상에 존재했다는 사실조차 사라져버릴 것이다. 그런 존재로서 '늘, 항상'을 추구하는 사랑의 실현을 위해 기막힌 방법을 해왔음을 이야기하는데. 육체의 죽음에 대해서는 임신과 출산, 지식의 죽음에 있어서는 기억을 위한 연습 (아마도 학습), 영원히 잊혀지지 않고자 하는 것을 위해서는 명예를 추구하고 이름을 남기고자 하는 것으로 이어짐을 말한다. 


그리고, 사랑의 사다리라고 하여 플라톤의 주요한 이데아론으로 비쳐지는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 공통되고 절대적인 사랑이 있음을 말하며 소크라테스의 말은 마무리가 된다. 


쓰다보니 길어졌다. 사랑 이야기는 그만큼 할말이 많은가보다. 소크라테스의 사랑논증을 들으면서 내가 하는 사랑이 다분히 이기적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고 그것이 나쁜 것이 아님을, 그리고 그 이기성으로 부터 시작한 사랑을 어떻게 아름답게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하게 되었다. 


고전이라고 하는 것은 시간의 시련을 거쳐 살아남은 만큼 우리에게 깊은 통찰과 감흥을 주는 것 같다. 아직 휴가이신분들은 분량도 많지 않기에 이런 책을 한번쯤 읽어보시길 추천하는 바이다.




김성민의 북리지 - 함께 성장하는 책 리더십 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