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의경영

(172)
[김성민의 본질게임] 느리게 더 느리게 [김성민의 본질게임 - 빵의 본질] 산업화 시대의 중요한 가치는 속도와 효율이었다. 대량생산과 자동화가 이를 가능케 하였고, 원가절감이라는 것을 통해 정교하게 부를 축적하며 경쟁하고 성장을 해나갔다. 빵을 만들때도 남들보다 빨리 해야만 했고 효율을 추구해야만 했기에 시간이 걸리는 자연효모를 통한 발효보다는 인스턴트 이스트로 손쉽게 부풀리고 구워내게 되지 않았나 싶다. 보여지는 현상은 그것을 만들어내는 사람의 철학에 의해 좌우된다. 한 사람의 철학이라는 것이 그 시대의 요구와 무관할 수 없기에 시대의 모습이 작은 빵하나에도 고스란히 담기게 되는게 아닌가 한다. 오늘 아내와 오래간만에 시간을 내어 천안의 유명한 빵집이라고 하는 뚜쥬르 라는 곳에 가서 커피와 함께 빵을 먹으며 이야기를 나눴다. 빵집 한 벽면에..
[김성민의 본질게임] 순대국밥집에서의 추억 [김성민의 본질게임 - 순대국밥집에서의 추억] 본질을 보지못하면 작은 것을 취하려다가 큰 것을 놓치게 될 수 있다. 독서토론모임이 있던 날 모임을 마치고 함께 점심을 먹기 위해 한동안 가지 않았던 순대국밥집을 들어갔다. 식당 주인은 가장 안쪽에 있는 예약석이라는 푯말이 있는 곳으로 우리를 안내했고 얼큰순대와 순살순대가 맛있다면서 연신 추천에 추천을 거듭하셨다. 독서모임 회원들은 저마다 다른 순대국밥을 주문했는데, 내앞에 앉은 회원은 순대만 넣은 순대국밥을 시켰다. 문제는 주문한 순대국밥이 하나씩 나오면서 발생했다. 순대만 넣은 순대국밥을 받아든 내 앞에 있는 분은 좀 이상하다는 표정을 띄며 순대국안을 이리저리 저어보고 있었다. 나는 대번 순대가 매우 적어보인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다른 숙대국밥에는..
[김성민의 본질게임] 도찐개찐 거기서 거기~ [김성민의 본질게임 - 황소의 본질] 창의성을 방해하는 요소중에서 '기능적 고착화'라는 현상이 있다. 우리가 늘 범하는 실수이다. 기능적 고착화는 이전까지 그 물건이 특정한 용도로 사용되었다면 앞으로도 그렇게만 사용되는 것이 맞다 라고 여기는 생각의 태도를 말한다. 이런 기능적 고착은 해당 영역에 대한 경험이 많을 수록 더 발달하기도 한다. 어떻게 하면 기능적 고착으로 부터 벗어나야 할지는 창의칼럼에 소개하도록 하겠다. 오늘은 한 때 인터넷 게시판을 뜨겁게 달군 사진 한장을 놓고 본질게임을 알아보겠다. 아래 사진을 보면 소가 있어야 할 자리에 엉뚱하게 자동차가 있다. 일상과 다르다는 사실이 그림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실소를 터뜨리게 만든다. 말도 안되는 행동을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질게임의 입장에서..
[김성민의 본질게임] 잘 찍으면 장땡? [김성민의 본질게임 - 스테이플러의 본질] 본질게임에서 다양한 대상의 본질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 있다. 왜 그런 생각을 갖게 되었을까? 바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이다. 우리는 의식하던 하지 못하던 저마다의 고정관념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효율과 적합이라는 이름으로 보여지는 형식을 대상의 전부로 '착각' 하며 살기도 한다. 그래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이 질문을 해봐야 한다. "꼭 그럴 필요가 있어?" 이 말은 창의적 생각을 위한 주문과도 같은 말이다. 책임질 필요도 없는 저 말을 던지고 나면 호숫가에 무심코 던져진 돌하나로 호수 표면에 파문이 이는 것과 같이 공간에 에너지가 출렁거리게 된다. 그런 출렁거리는 에너지장 속에서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쏟아내는 것이 좋은 아..
[김성민의 본질게임] 스마트폰은 무엇인가? [김성민의 본질게임 - 스마트폰의 본질]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를 들어보면 하나같이 본질을 꿰는 통찰력이 드러난다. 얼마전 포브스에서 발표한 세계 억만장자 순위에 처음으로 진입한 다음카카오톡의 김범수 의장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NHN을 나와 차기 사업을 구상중이던 김범수 의장은 스마트 시대에 무엇을 할지 고민하면서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는 한 주간지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다. "인터넷 시대의 핵심이 '검색'이었다면, 스마트폰 시대의 핵심은 무엇일까 오래 고민했고, 결국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카카오톡의 커뮤니케이션 총괄이었던 박용후저자의 '관점을 디자인하라' 에 보면 이 상황을 보다 상세히 적고 있는데, 김범수 의장은 먼저 스마트폰의 본질을 질문하였고 '전화'가 본질이다..
[김성민의 본질게임] 누르고 세게 누르고 [김성민의 본질게임 - 포도즙틀과 인쇄기] 인류 역사를 바꾼 100명을 말해본다면 당신은 누구를 지목하겠는가? 한 다큐멘터리에서 1000년에 걸쳐 역사의 변화를 이끈 100인을 선정했는데 4위는 진화론의 찰스다윈 3위는 종교개혁을 촉발시킨 마틴 루터 2위는 만유인력을 발견한 뉴튼 그리고 1위로 인쇄술을 발전시킨 구텐베르크였다. 그중 오늘의 이야기는 1위로 거론된 구텐베르크의 인쇄기에 대한 것으로 시작해보겠다. 구텐베르크가 살았던 1400년경에는 이미 인쇄기술이 존재했던 시기였다. 다만 목판인쇄여서 힘을 세게 가하지못하고 여러번 반복해 찍기도 쉽지 않았다. 유럽의 종이는 중국의 종이보다 훨씬 두꺼워 강한 힘으로 눌러야 하는데 그게 어려웠던 것이다. 그때 구텐베르크에게 이런 문제상황에 대한 인식은 그를 역사..
[김성민의 창의칼럼] 고정관념을 인정하라 ⑥ [김성민의 창의칼럼 - 고정관념을 인정하라 ⑥] 창의성을 위해 고정관념을 인정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니라 탁월한 전략적 판단이다. 자신은 고정관념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치고 유연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이것만이 답이다 라고 말하는 사람과의 대화와 토론이 가장 힘들다. 다름을 존중해야 하는 창의적 태도가 없기 때문에 설령 그 사람이 창의력 전문가라고 하더라도 이미 유연성을 상실한 경우를 많이 보았다. 예전에 조직생활을 할 때 업무의 연장으로서 회식을 많이 했던 것 같다. 회식은 1차로 끝나질 않는다. 요즘은 많이 바뀌었다고 들었지만 보통은 3차까지 하고 나서야 회식의 가장 기본코스를 밟았다고 생각하던 때에 회사를 다녔다. 3차 회식장소에서 나오며 우리의 부장님은 다리가 왔다갔다 비틀비틀, 혀가 꼬..
[김성민의 창의칼럼] 고정관념을 인정하라 ⑤ [김성민의 창의칼럼 - 고정관념을 인정하라 ⑤] 몇달전 포스팅에서 고정관념은 좀처럼 제거하거나 버릴 수 없는 대상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사물을 대할 때 어느 누구도 자신이 그동안 학습하고 경험한 지식을 의존하지 않은 채 순수하게 Zero base thinking 을 하는 사람은 그 누구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인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거기에는 말하지 않은 아주 중요한 이유가 한가지 더 있다. 고정관념을 인정하는 것과 창의성과의 뗄 수 없는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을 객관화하고 유연한 생각을 지닐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메타인지(Metacognition) 이라고 한다. 최근 연구결과로는 메타인지를 하는 학생이 학업성적도 더 ..